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7월1일부터 시행… 12만여명 간병·수발 지원
페이지 정보
본문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7월1일부터 시행… 12만여명 간병·수발 지원
퇴행성 질환 등으로 혼자서는 생활이 불편한 노인 환자들의 수발을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7월1일부터 시행된다.
만 65세 이상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뇌혈관 질환 등의 노인병을 가진 성인의 경우 심사를 거쳐 간병, 수발, 가사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는 선진국형 노인 수발 서비스다.
30일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는 지난 4월15일부터 접수를 받아 시행 전까지 약 21만명이 신청, 이 중 심사를 거친 18만5000여명 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1~3등급은 약 12만6000여명이다. 1~2등급은 요양시설의 입소가 가능한 ‘시설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3등급은 집에서 ‘재가(在家)급여’만 이용할 수 있다.
시설급여는 전문적인 시설과 설비, 인력이 구비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장기간 숙식을 하면서 수발을 받게 된다. 재가급여는 요양보호사가 환자 가정을 방문해 노인을 돌보는 것으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중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도서벽지 등 요양시설이 없어 가족의 보호를 받아야 할 경우에는 ‘특별현금급여’의 형태로, 가족에게 필요한 현금이 지급된다. 시설급여는 보험 급여비용의 20%, 재가급여는 사용금액의 15%만 본인이 부담하면 된다. 또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는 전액 면제되며,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본인부담금을 50% 경감 받게 된다.
복지부는 “서비스 대상자로 판정돼도 바로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서구의 사례를 감안하면 총 12만여명의 대상자 중 약 10만여명이 7월 초부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며 “요양 서비스 환자는 7월 말에 14만명, 연말에는 17만명 등으로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월 말 현재 시설 서비스를 받는 요양시설은 현재 전국 1271곳, 5만6140병상이 지정됐으며 약 2100병상 정도가 부족한 상태다. 운영 재원은 건강보험료와 함께 청구되는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금, 서비스 대상자들의 본인 부담금 등이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 가입자들은 보험료의 4.05%(평균 2700원)에 달하는 장기요양보험료를 의무적으로 내야 한다. 한편 만 7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지급해온 기초노령연금의 지급 대상도 1일부터 65세 이상으로 확대된다.
<문화일보 2008-06-30>
퇴행성 질환 등으로 혼자서는 생활이 불편한 노인 환자들의 수발을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7월1일부터 시행된다.
만 65세 이상이거나 65세 미만이라도 치매, 뇌혈관 질환 등의 노인병을 가진 성인의 경우 심사를 거쳐 간병, 수발, 가사 지원 등을 받을 수 있는 선진국형 노인 수발 서비스다.
30일 보건복지가족부에 따르면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는 지난 4월15일부터 접수를 받아 시행 전까지 약 21만명이 신청, 이 중 심사를 거친 18만5000여명 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1~3등급은 약 12만6000여명이다. 1~2등급은 요양시설의 입소가 가능한 ‘시설급여’를 받을 수 있으며 3등급은 집에서 ‘재가(在家)급여’만 이용할 수 있다.
시설급여는 전문적인 시설과 설비, 인력이 구비된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장기간 숙식을 하면서 수발을 받게 된다. 재가급여는 요양보호사가 환자 가정을 방문해 노인을 돌보는 것으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중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도서벽지 등 요양시설이 없어 가족의 보호를 받아야 할 경우에는 ‘특별현금급여’의 형태로, 가족에게 필요한 현금이 지급된다. 시설급여는 보험 급여비용의 20%, 재가급여는 사용금액의 15%만 본인이 부담하면 된다. 또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는 전액 면제되며,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본인부담금을 50% 경감 받게 된다.
복지부는 “서비스 대상자로 판정돼도 바로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서구의 사례를 감안하면 총 12만여명의 대상자 중 약 10만여명이 7월 초부터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라며 “요양 서비스 환자는 7월 말에 14만명, 연말에는 17만명 등으로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월 말 현재 시설 서비스를 받는 요양시설은 현재 전국 1271곳, 5만6140병상이 지정됐으며 약 2100병상 정도가 부족한 상태다. 운영 재원은 건강보험료와 함께 청구되는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금, 서비스 대상자들의 본인 부담금 등이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 가입자들은 보험료의 4.05%(평균 2700원)에 달하는 장기요양보험료를 의무적으로 내야 한다. 한편 만 7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지급해온 기초노령연금의 지급 대상도 1일부터 65세 이상으로 확대된다.
<문화일보 2008-06-30>
- 이전글<노인요양보험 D-1> 문답풀이(종합) 08.07.01
- 다음글치매·중풍 등 거동불편 노인, 사회도 돌본다 08.07.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